반응형

Heart 7

CAD, 관상동맥질환 - MI, 심근경색의 치료

2. MI 심근경색의 치료 1) 약물치료 (1) NTG (2) heparin (3) morphine (4) B- blocker (5) Statin (6) ACEI (Angiotensin conserting enzyme inhibitor) 2) 재관류 치료 3) 수술 치료 1) 약물치료 (1) NTG (nitroglycerin), 혈관 확장제 - 흉통시 0.6mg씩 3회까지 5분 간격으로 설하투약 가능함 - 흉부 불편감을 감소시키거나 없앨 뿐만 아니라 NTG는 전부하를 감소 -> 심근 산소 요구량을 줄이고, 관상동맥 or 연관 혈관을 확장시켜 심근산소 공급을 증가시킴 - sBP가 낮거나 (

Heart 2023.04.18

CAD, 관상동맥질환 - MI, 심근경색의 증상, 검사

MI, 심근경색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서 심장 근육이 죽어가는 질환 1. 심근경색, MI의 증상, 검사 1) 흉통 보통 30분 이상 지속되는 흉통과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을 5분 간격 최대 3번 투여 시에도 소실되지 않는 흉통이 협심증과 구별되는 심근경색의 특징 2) 초기 EKG 심전도에서 ST절이 상승된 심근 경색증의 경우 곧바로 심혈관성형술, 스텐트삽입술, 혈전용해술이 요구되는 응급 질환 STEMI:(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관상동맥이 100% 막혀서 응급으로 혈관 재개통이 필요한 심근경색증 NSTEMI: 쇼크가 동반되는 경우와 같이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약물 치료 후 안정화된 상태에서 시술할 수 있다. STEMI: 응급시술 필요 NSTEMI: 약물 치료 후 시술 가능 -심근 변화에 따른 EKG ..

Heart 2023.03.15

CAD, 관상동맥질환 - angina, 협심증

coronary artery disease: 관상동맥 증후군 (angina, MI) 협심증, angina pectoris: 관상동맥의 부분적 폐쇄에 의해 관상동맥이 좁아져 심장에 공급되어야 할 혈액의 양이 부족해져 가슴의 통증과 심장 기능 저하가 나타나는 질환 심근경색, MI: 관상동맥의 완전 폐쇄로 심장벽이 장기간 허혈과 세포 사멸, 경색을 유발하는 질환 협심증: 안정형 협심증 (stable angina),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변이형 협심증 (이형성 협심증, variant angina)로 구분 협심증의 원인 - 심근의 산소 공급 부족 1) 혈관 관계 문제: 죽상경화증 (가장 중요한 원인), 동맥 경련 (추위, 스트레스, 흡연), 심혈관 동맥염 (감염, 자가면역 질환) 2)..

Heart 2023.03.11

폐동맥압 PAP, PCWP, 스완관즈, CO monitor

폐동맥압 (pulmonary artery catgeter, swan Ganz catheter) 1) 폐동맥관 삽입 목적 좌, 우 심장 내 압력, 심박출량에 대한 정보 제공 혼합 정맥혈 산소포화도 (SvO2), 우심방 혈액량과 분출량 사정에 대한 모니터링 폐동맥관으로부터 얻은 혈역학적 정보는 수액, 인제, 혈관확장제, Inotropic 약물을 포함한 치료적 중재의 지침이 됨 심박출량 (Cardiac output)의 지속적 감시 폐동맥압 (pulmonary artery pressure)의 지속적 감시 혼합정맥산소포화도 (Mixed venous saturation)의 측정 폐동맥쐐기압 (PCWP)의 측정으로 Lt heart의 diastolic filling의 평가 2) 폐동맥관 (pulmonary artery..

Heart 2023.03.07

TAVI - Aortic stenosis

1) TAVI 정의 TAVI, Transcatheter Aortic valve implantation, 경비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 AS 환자에서 고령 및 동반 질환으로 인하여 개심술이 어려운 환자들의 수술적 치료의 대안 대퇴부 혈관에 도관을 삽입하고, 그 통로를 통해 카테터에 장착한 인공 대동맥을 대동맥 판륜근처까지 밀어 넣고 풍선으로 확장시켜 인공판막을 고정시키는 방법 2) 적응증 정상 대동맥개구부의 넓이: 대동맥 판막이 최대로 얼렸을 때 정상 AV area: 2.5~3.5cm2, 정상 AV 2cm 정도 대동맥 판막이 열렸을 때 좌심시롸 동맥의 압력 차는 5mmHg 이하로 거의 없는 것이 정상 3) aortic stenosis의 원인 (1) 퇴행성 변성 (2) 류마티스성 변성 (3) 선천성 변성 4) ..

Heart 2023.03.06

심장의 구조, 판막의 위치, 관상동맥의 구조

같은 내용을 몇 번이나 공부하고 있는지... 진짜 질린다 질려... 싶지만 으-악!! 이번에는 잊지 않겠어 *심장의 구조, 판막의 위치 방실판막 (atrio ventricular valves) AV valve 2개: Mitral valve (승모판, 좌심방 좌심실 사이에 위치) + tricupid valve (삼첨판, 우심방, 우심실 사이 위치) 심방에 혈액이 참 -> AV valve 개방 -> 심실로 혈액이동 * 관상동맥의 구조 관상동맥 coronary artery: 심근에 산소를 공급함 심근 수축기에 대동맥 판막을 넘어온 혈액 중 일부가 개구부를 통해 빨려 들어가 산소 제공 심실 이완 (휴식기)가 될 때 심근 곳곳에 산소를 배달하고, 관정맥동을 통해 우심방으로 돌아옴 RCA: Right coronar..

Heart 2023.02.01

심실 보조 장치, VAD, ECMO, IABP

우리 선생님께서 "VAD 환자의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차이가 나지 않는 이유는?" 라는 질문을 하셨다. VAD나 ECMO를 공부하면 알 수 있을까 싶어서 나름 공부를 해봤는데 VAD (심실보조장치): ECMO or IABP인 줄 알았다 (아님 서로 다른 거임) 책을 찾아봐도 ... 없고... 구글을 찾아봐도 없어서 오늘 같이 근무하던 다른 선생님께 여쭤봤다. 그나마 정답에 가까웠다고 생각한게 IABP의 원리 같았다. 그래서 IABP를 말씀드렸더니 이럴수가 IABP는 VAD와 다른 거라니... 우리 병원에는 IABP가 없다니... 이게 오늘 있었던 일이고 그래서 내가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 정리해 보겠다. 심실보조장치, VAD, IABP, ECMO도 함께 알아보자! 말기순환치료의 수술적 치료에는 아래..

Heart 2023.01.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