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ci 3

CAD, 관상동맥질환 - MI, 심근경색의 치료

2. MI 심근경색의 치료 1) 약물치료 (1) NTG (2) heparin (3) morphine (4) B- blocker (5) Statin (6) ACEI (Angiotensin conserting enzyme inhibitor) 2) 재관류 치료 3) 수술 치료 1) 약물치료 (1) NTG (nitroglycerin), 혈관 확장제 - 흉통시 0.6mg씩 3회까지 5분 간격으로 설하투약 가능함 - 흉부 불편감을 감소시키거나 없앨 뿐만 아니라 NTG는 전부하를 감소 -> 심근 산소 요구량을 줄이고, 관상동맥 or 연관 혈관을 확장시켜 심근산소 공급을 증가시킴 - sBP가 낮거나 (

Heart 2023.04.18

CAD, 관상동맥질환 - MI, 심근경색의 증상, 검사

MI, 심근경색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서 심장 근육이 죽어가는 질환 1. 심근경색, MI의 증상, 검사 1) 흉통 보통 30분 이상 지속되는 흉통과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을 5분 간격 최대 3번 투여 시에도 소실되지 않는 흉통이 협심증과 구별되는 심근경색의 특징 2) 초기 EKG 심전도에서 ST절이 상승된 심근 경색증의 경우 곧바로 심혈관성형술, 스텐트삽입술, 혈전용해술이 요구되는 응급 질환 STEMI:(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관상동맥이 100% 막혀서 응급으로 혈관 재개통이 필요한 심근경색증 NSTEMI: 쇼크가 동반되는 경우와 같이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약물 치료 후 안정화된 상태에서 시술할 수 있다. STEMI: 응급시술 필요 NSTEMI: 약물 치료 후 시술 가능 -심근 변화에 따른 EKG ..

Heart 2023.03.15

심장검사: 심전도, 운동부하검사, 홀터검사

EKG, Electrocardiography, 심전도 수술 전 심전도는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관상 동맥 환자가 동성 빈맥을 보이는 경우: 베타차단제가 충분히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는 뜻 -> 수술 전 심근 허혈 악화가 가능하며, 수술 후 심방세동 발생가능하다. 수술 전 동성 서맥을 보이는 경우: 수술 후 일과성 심박동기 치료 필요할 수 도 있음, 수술 후 생길 수 있는 심방세동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하는 베타차단제나 or 아미오다론을 사용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수술 전 심전도에서 동성 기능 부전이 있는 경우: 수술 후 영구형 심박동기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심방세동이 있음 and 심실 반응이 빠른 경우: 약물을 투여하여 심박동수를 감소시킬 필요성이 있다. (빠른 심실 반응으로 심근 허혈이 악화될 수 ..

검사/심장검사 2023.01.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