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U 기계

Pacemaker, 인공 심박동기

리슨투마핱빝 2023. 2. 7. 21:55
반응형

1. 인공심박동기 종류
1) temporary pacemaker, 일시적 심박동기: 증상이 있는 bradycardia, 심장이 뛰지 않을 때 전기 자극을 발생시켜 심실 수축할 수 있도록 자극 줌

- 삽입 경로에 따라

(1) 경피적 심박동기, transcutaneous pacemaker
: 흉부에 제세동기 패치를 부착하여 외부에서 pacing하는 방법, ACLS에서 증상이 있는 서맥일 때 사용하는 응급처치 방법

(2) 경정맥 심박동기, trans-venous pacemaker
: femoral vein or Rt IJC으로 pacing wire를 삽입하여 체외심박기와 연결하는 방법
심혈관 조영술 (CATH방), ICU bedside에서 시술함
(RFCA하고 온 환자 1~2일은 유지했음)

(3) 심외막 심박동기, epicardial pacemaker
: Open heart surgery 시 직접 심외막에 pacing wire를 부착하고 피부 밖으로 고정시켜 둔 와이어를 연결하여 pacing 하는 방법

공통점: 심장의 리듬이 회복되면 제거


2) permanent pacemaker, 영구적심박동기
: 환자의 왼쪽 위 흉부에 절개를 하여 이식하게 됨, 일시적 심박동기로 심장리듬을 보조하고 자발 리듬이 회복되기를 기다려 본 후 리듬 회복 되지 않고 symptomatic bradycardia 지속될 때에는permanent pacemaker 삽입술을 하게 됨
일시적 심박동기보다 세세한 세팅이 가능하며 제세동 기능이 있거나 EF 를 상승시켜주는 모델도 있음

(1) ICD
(2) CRT
(3) Pacemaker

  적응증 목적
Pacemaker 증상이 있는 서맥
sinus pause, Sick Sinus Syndrome, Heart block

Bradycardia일 때 pacing하여 정상 맥박수를 보조하기 위함
ICD V tach, V fib V Tach / V fib 을 감지하고 제세동하여 정상리듬을 회복하는 것
제세동 후 back up pacing
CRT 심부전 치료
EF 35%이하, 심한 LBBB
(LBBB로 QRS파가 비정상적으로 넓어진 환자 QRS > 150msec)
우심실, 좌심실이 함께 뛰도록 타이밍을 맞추어 EF 상승
Defibrillator 기능 추가: CRT-D

1) Single chamber
:Atrium이나 Ventricle 둘 중 한곳에만 리드가 있음
90%는 ventricle에 리드가 있음
가장 흔히 사용하는 lead: VVI mode

2) Dual chamber
: Atrium 이나 ventricle 모두 리드가 있음

3) Bi ventricular chamber
RV(우심실) or 좌심실 (LV) 각각의 리드가 들어가 있음
Bi ventricular lead는 LBBB 및 HF 환자의 심박출량을 보조하는 역할

* 우심실은 좌심실과 동시에 수축해야하는데 LBBB 환자들은 좌심실이 늦게 뜀 -> 심박출량 저하!!
좌우 심실이 한번에 수축할 수 있도록 도ㅘ주는 것이 Bi ventricular chamber의 목적!
좌우 Synch를 맞춘다고 하여 CRT, Cardiac Re Synchronization theraphy라고 함

pacing, pacing 위치 Sensing, 심장이 스스로 뛰는 리듬 감지 리듬에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
A: Atrium O: none O: none
V: ventricle A= Atrium T: Triggered
D= Dual (A+V) V=ventricle I: Inhibited
  D= Dual (A+V) D= Dual (A+V)

I: 억제 -> 심장이 스스로 잘 뛴다면 Pacemaker가 뛰지 않고 억제!!
O: 심장 뛰는 것만 Sensing하 않고 무조건 Pacemaker 세팅대로 전기 자극을 주는 것
T: 심방에서 전기자극이 시작한 것을 감지하고 심실에 pacing주는 것

VVI mode
: 심실에 pacing, Bradycardia 에 널리 사용
Vebtricular paced: 필요시 심실에 pacing 됨
QRS가 감지되면 Inhibit함

AAI
: 심방 pacing, Sinus dysfunctin일 때 사용 (AV node에 전도 문제가 없을 때)
필요시 심방이 Pacing 됨
ㅔ WAVE가 감지되면 inhibit됨

DDD
: 심방, 심실 모두 Pacing, Complete Av Blick처럼 A-v wequence가 맞지 않는 경우 사용
페이싱 리드가 우심방, 우심실에 각각 1개씩있어 총 2개
atrial spike: P wave 만들어냄
ventricular spike: QRS파 만들어냄
intrinsic P파가 감지되면 심실 페이싱을 Trigger함
intrinsic QRS파가 감지되면 심실 페이싱 억제함




매일 ICD pacemaker만 보다가 CRT를 봤을 때의 그 충격 잊지 못 해

데이 끝나고 공부 멋져 굿


반응형

'ICU 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Ventilator mode  (0) 2023.03.19
FMC CRRT alarm control  (0) 2023.03.10
FMC CRRT Priming  (0) 2023.02.20
FMC CRRT TIP  (1) 2023.02.11
신대체요법, CRT - AKI  (0) 2023.01.12